설교 가이드

[스크랩] 교회성장과 설교

하늘감동 2012. 12. 30. 01:45

교회성장과 설교

 

 

예수님은 실제적이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가르치심으로써 군중을 이끄셨다.

(릭웨렌, 목적이 이끄는 교회, pp. 252-269)

 

예수님은 내가 내 자의로 말한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 나의 말할 것(what to say=Contents) 이를 것(how to say it=Mothod)을 친히 명령하여 주셨으니”(12:49)라고 말씀하셨다. 예수님의 말씀의 내용전달 방법이 둘 다 아버지의 명령에 의한 것이었다.

 

 

  1. 예수님은 사람들의 필요와 상처와 관심에서 시작하셨다.

 

예수님은 흔히 군중가운데 있는 누군가의 질문이나 시급한 필요에 대해 반응 하심으로써 가르치셨다. 예수님은 가려워 하는 곳을 긁어 주셨다. 그 분의 설교는 사람들의 필요와 직접적인 관련성를 띠고 있다  

예수님은 나사렛에서 첫 설교를 하시면서 그분의 사역의 내용이 무엇이 될 것인가를 선포하시기 위해 이사야 서의 말씀을 펴서 읽으셨다.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사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하였더라” (4:18-19).

 

예수님의 사역의 포커스는 필요를 채우는 것과 상처를 치유하시는 것이었다. 예수님은 말씀을 듣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유익을 가져다 주는 좋은 소식을 가지고 있었기에 사람들은 듣기를 원했다. 이와같은 말씀은 사람들을 자유케 할 뿐더러 사람들의 삶에 온갖 축복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의 내용을 사람들의 삶에 직접 적용시켜 줌으로써 성경말씀이 우리들의 삶과 연관성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군중들은 항상 복음을 듣기 위해서 몰려든다.

복음은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서 무엇을 해 주셨는가?’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무엇이 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복음은 비신자들이 갈구하고 있는 것들, , 용서, 용납, 사랑, 자유, 안전과 목적을 이룰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복음은 우리의 과거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의 삶의 의미를 부여해주고 밝은 미래를 꿈꾸게 하고 보장해 주는 세상에서 가장 좋은 소식이다.

 

설교를 하거나 가르칠 때 사람들의 필요를 가지고 시작함으로써 당신은 청중의 주의를 곧바로 끌어낼 수 있다.

 

사람들의 뇌 속에는 사람의 주의를 끌게 하는 망상체 활성구조를 통과하는 세 가지가 있다 . 그것은 첫째 사람들이 귀중히 여기는 것’, 둘째 아주 독특하고 특이한 것’, 그리고 세째 사람들을 위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흥미를 잃어버린 청중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설교자는 이 세 가지와 메세지를 연결 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 중에 그리스도께서 가르친 방법과 가장 일치하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닌 복음의 가치를 보여주는 것일 것이다. 예수님은 사람들이 말씀의 가치와 유익을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르치셨다. 주님은 불신자들을 위협하는 방법으로 구원하시기를 원치 않으셨다.

 

대부분의 불신자들은 진리가 아니라 안위를 찾고 있다.

 

불신자들의 고통을 덜어주거나 문제를 해결해주는 진리를 가르칠 때 사람들은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성경적 진리에 대한 갈증을 불러 일으킨다. 그러므로 설교자들은 매주 이번 주에 나는 무엇을 설교할 것인가를 묻지 말고 나는 누구에게 어떤 필요를 채워주는 설교를 할 것인가를 물어야 한다.

 

사람들이 현재 당하고 있는 필요야말로 그 시간 하나님께서 설교자로 하여금 전하게 하실 내용을 알아내는 열쇠이다. 청중이 어떤 사람들인가를 알아내는 것은 설교자가 설교를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 가를 결정해 준다.

 

 

 

 

머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출처: 위키피디아)

간략히 설명하자면 인간의 여러 욕구를 몇 개의 계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낮은 계층의 욕구가 먼저 만족되어야만 그 위에 있는 욕구를 추구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이를테면 숨 쉬기, 먹기, 섹스 등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된 후에야 건강, 안정된 직장 등에 대한 욕구를 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피라미드의 최상단에는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이 있다.

 

 

 

 

  1. 예수님은 진리를 삶에 연결시켰다: 적용

 

그분의 가르침은 명확하고 삶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적용이 가능했다. 그분은 항상 적용에 목표를 주셨는데 그것은 그분의 가르침의 목적이 단순히 그들에게 사실을 전하는 것보다는 사람들을 변화시키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해야 한다는 설교가 아니라 어떻게해야 하는가에 대한 설교이다. 가장 깊이 있는 설교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변화를 가져다 주는 설교이다. 무디는 성경은 우리에게 지식을 더하여 주기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주어졌다”. 우리의 목표는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이다.

 

신학적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또 그것이 신학이라는 것을 말하지도 않고 신학을 가르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성경의 내용을 바꾸어서는 안 되지만 그것을 비교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말로 바꿀 필요는 있다.

 

 

    3. 예수님은 재미있는 방법으로 말씀하셨다.

 

첫째, 예수님은 이야기를 사용하셔서 전하고자 하시는 메시지를 전달하셨다.

많은 설교자들이 성경이 본질적으로 이야기책이라는 사실을 잊고 있는 것 같다. 이야기야말로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인간들에게 전달하시는 수단으로써 선택하신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야기는 1)사람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2)감정에 강한 영향을 끼치고,그리고 3)오래도록 기억에 남게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둘째, 예수님은 전문적이거나 신학적인 용어 대신 단순한 언어를 사용하셨다.

예수님은 심오한 진리를 알기 쉬운 단순한 방법으로 가르치시고 많은 목사님들은 단순한 진리를 심오한 방법으로 가르친다.

*잭 하이포드, 척 스미스, 척 스윈돌, 그리고 릭 웨렌은 어떻게 설교를 준비하고 전달할 것인가란 주제에 대한 강의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한 것은 설교를 단순한 내용으로 유지하라는 것이었다. 

 

심오한 진리를 단순한 방법으로 전달하는 데에는 많은 생각과 준비가 필요하다. 단순하다는 것은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오늘은 주가 지으신 날이다라는 말은 단순한 표현이며 좋은 하루!”는 피상적이다.

             단순한 설교개요는 항상 강력하고 힘있는 개요이다.

 

 

가서 전하라인가? “와 보라인가?

예수님은 믿는 자들에게 가라”, 잃어버린 세상 사람들에게는 오라고 말씀하신다.

 

오라

1:39à예수께서 가라사대 와 보라 그러므로 저희가 가서 계신 데를 보고

11:28à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7:37à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가서 전하라

28:27à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문화에 대한 반응

교회는 이 시대의 문화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물고기는 평생 바다에 살면서도 소금에 절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예수님은 이 세상 속에서 사역하시면서 이 세상에 속하지 않으셨다. 하나님의 목적을 성취하는 것이 항상 전통을 유지하는 것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선구자는 항상 화살의 과녁이 된다. 진리를 오늘날의 용어로 번역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위클리프가 바로 그러한 연유로 불태워 죽임을 당하였다.

 

 

 

예수님께서 사용하신 재미있게 설교하려면 의사소통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의사 소통의 원리(The Principle of Communication)를 알지 못하고서는 재미있게 설교할 수 없다.

 

 

 

의사 소통의 원리(The Principle of Communication)

 

리더십은 비전으로 시작된다. 비전에 대한 헌신은 사명이고 사명은 어떤 목표를 세우고 이룩해 감으로 완성된다. 리더는 이것을 혼자하지 않는다.  <리더의 과제>는 비전, 사명, 목표를 사랑과 겸손으로 그를 따르는 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리더는 효율적인 의사 전달자가 되어야 한다.

 

1)    Communication이 왜 중요한가? 직장에서, 가정에서, 교회에서

 

2)    Communication의 정의

    Hendrix우리 자신과 다른 인간 사이에 이해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가 하는 일이다

    Allen이해를 창조하기 위하여 리더가 행하는 일이다

    Killinski & Wofford상호간의 이해, 동의 및 긍정적 반응이 일어나도록 아이디어와 느낌을 전달하고 받아 들이는 것이다

    Communication이란 우리와 다른 사람 사이에 상호간의 필요와 목표에 관하여 어떤 이해에 도달하게 하는 과정이다. 또한 아이디어, 느낌, 인상 등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3)    Communication방법: , 행동, , body language, 無言 etc

가장 강력한 전달은 consistency(일관성)이다.  가장 강력한 방법은 행동으로써 말하는 것이다.

 

4)    7가지 효과적인 의사전달 규칙

    효과적인 의사 전달의 중요성을 인식하라.

    청중을 평가하라

    올바른 의사전달의 목표를 선택하라.

    선입견(pre-concept)장벽을 깨뜨리라.

    청중들이 알고있는 경험을 참조하라.

    자신의 주장을 구축하라.

    욕구에 호소해서 행동하도록 동기를 유발시켜라.

 

*설교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전달하고자 하는 목표가 명확하여야 한다. 더하기 성령의 기름부음이 임하여야 한다. 성도들에게 정확한 지침을 주어야 한다. 단문을 사용하여야 한다.

 

 

5)    자신의 주장을 구축하는 방법

 

    축적, 재진술, 설명, 비교, 일반적인 예화, 특별한 예, 증언

    축적은 사고의 진행 과정이다. 그것은 주어진 정보를 추가하고 더 많은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만약 ‘60세가 넘는 사람들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위대한 일을 성취해 왔다고 주장했다면, 청중들이 의문을 갖게 될 것이다. 그때 그에 대한 몇몇 증거를 제시한다면 그러한 의문은 동의로변할 것이다.

“80세가 넘어 프랑스 대사를 지낸 Benjamin Franklin, 83세에 영국의 수상이 된 Gladstone, 98세에도 그림을 그리고 있는 베네치안 화가 Titian, 80세에 오페라를 작곡했던 Verdi 등등이와같이 축적된 예를 든다면 청중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     욕구의 호소를 통한 동기 유

1)    사람들이 행동하도록 동기를 유발시킴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것은 자신들의 간절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유익하고도 영원한 목표를 향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2)    사람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그것을 어떻게 성취해야 될 것인지를 아는 것이다.

3)    인간의 기본 욕구에 호소하라

    A.E. Phillips교수의 인간의 7가지 욕구: 자기보전, 재산, 권력, 평판, 애정, 정감, 취미/풍미

    Roy Garn감정에 호소하는 마력(The magic power of Emotional Appeal)’에서 자기 보전(Self Preservation), 금전(money), 로맨스 감정(Romance), 인식(Recognition)

 

    Abraham Maslow

ㄱ.   욕구의 피라미드 단계에서 기본 욕구로는 신체적 보호의 욕구, 중간단계의 욕구는 사회적 욕구(Social Needs), 가장 높은 욕구는 자기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이다.

    *청중에 따라 호소하는 단계가 다르다. 가장 낮은 단계에 있는 사람은 기본욕구로, 높은 level에 있는 자에게는 높은 욕구의 단계로 호소하여야 한다.

 

ㄴ.   욕구계층이론

a.    생리적 욕구: 인간의 생존을 위한 의식주에 관련한 욕구

b.    안정의 욕구: 질서, 위협이나 공포로부터의 자유등 육체적 안전과 심리적 안정에 대한 욕구

c.    사회적 욕구: 사랑과 소속감의 욕구로 그룹에 소속되어 그룹원과 애정을 주고 받기를 원한다. 그룹원 상호간의 수용, 친화, 우의 및 함께함을 통하여 이 욕구는 충족된다.

d.    존중의 욕구: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존경을 받고 싶어하는 욕구로 자신의 가치유능성이 안정되어질 때 이 욕구는 채워진다.

e.    자아실현의 욕구: 인간의 최고수준의 욕구로 도전, 목적, 의미, 성장, 성숙,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고 싶은 욕구이다. (성취감을 만족시켜 주므로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2.     주상지 교수의 Communication 10계명

1)    사람들이 알고 있다고 가정해서는 안된다.

2)    조직체가 크면 클수록 communication이 더 많이 요구괸다.

3)    사람들을 애매모호한 상태로 내버려 둬서는 안된다.

4)    사람들에게 한번 어떤 것을 말해 주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5)    회중과 관계 수립을 위해 내용보다 communication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6)    Communicaiton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이해시키는 것이다.

7)    다른 사람과 communication을 하도록 힘써야 한다.

8)    리더십에 있어서 효과적인 communication을 최우선의 자리에 두어야 한다.

9)    비전을 품었다면 그 비전을 sharing하기 위해서 정직하고 개방되고 투명한 communication을 실천해야 한다.

10)  당신의 추종자들과 계속적인 접촉을 하여야 한다. 반대자들에게도 대화의 문을 열라.

 

3.     주상지 교수의 10 Communication Skill

1)    대화의 상대를 잘 인지하라. 청중을 바로 이해하라.- 청중의 욕구 단계를 분석하여야 하므로

2)    당신의 메세지를 정확하게 하라.

3)    효과적인 메세지 전달 방법을 사용하라.

4)    명확하고 정확한 언어를 구사하라.

5)    메세지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간결하게 전하라.- 단문을 사용하여야 한다.

6)    청중의 feedback을 요청하라. 청중을 메세지에 참여시켜라.

7)    설득할 수 있는 적절한 단어나 부드러운 어조나 억양으로 말해라.

8)    장애물을 극복하라. 감정의 개입, 변화에 대한 두려움, 반대세력등을 지혜롭게 대처하고 해결해 나간다.

9)    말과 부합된 행동을 하라.

상대방의 입장에 서서 말하라.

 

 

 

 

출처 : 너희가 그러고도 천국 갈 줄 아느냐!
글쓴이 : 생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