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오래 전 글이지만 귀한 글 같아 올립니다^^
[마크 뒤퐁] 200411 담에 난 구멍
From: Marc A. Dupont
Sent: Wednesday, November 10, 2004 8:17 AM
To: Leaders, International
Subject: "A Hole in the Wall"
보낸사람 : 마크 A. 뒤퐁
보낸날짜 : 2004년 11월 10일 수요일 오전 8:17
받는사람 : 세계 지도자들에게
메일제목 : ‘담에 난 구멍’
Dear Leader and co/laborer in the Body of Christ,
Please find below, and as an attachment, a prophetic word the Lord has given me called "A Hole in the Wall". I am sending this out primarily just to leaders in the Body of Christ. As well, I am sending it out with a great deal of prayer, concern, and hope.
Normally when I receive a word the Lord wants me to post at large, I simple send it out to a few leaders and put it out on a few different web sites.
With this one, however, I am asking you to prayerfully consider sending it out to as many leaders you personally know in the body of Christ. I do feel this is a word of timely import!!ance for leaders internationally.
If you do sent it out to different leaders, I would ask that you use the option with your email program of hiding the names and addresses of others you send it to. This is simply out of concern of more leaders ending up on "lists" filled with spam.
In Christ"s great love,
Marc A. Dupont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교역자와 사역자님께.
저는 주님께서 제게 예언의 말씀으로 주신 것을 "담에 난 구멍"라는 제목으로 여러분과 나누고 싶습니다. 먼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교역자님들께서 이 말씀을 받아주십시오. 저는 많은 기도와 관심과 소망안에서 이 내용을 보냅니다.
보통 제가 말씀을 받을때 주님께서는 공개적으로 그 내용을 알리도록 하십니다. 그래서 저는 간단히 몇몇분의 교역자님께 말씀을 보내고 또 여러 웹사이트에도 그 내용을 올립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여러분께서 직접 충분히 기도하시는 가운데 이 내용을 여러분이 알고 계신 다른 많은 교회의 교역자님들께도 보내주시면 좋겠습니다. 제 생각에 이 말씀은 전세계의 교역자님들이 이 시기에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말씀이라고 생각됩니다.
여러분이 이 내용을 이메일로 보내실때에는 이 메일이 스팸메일로 취급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주시기 바랍니다.
그리스도의 크신 사랑 안에서
마크 A. 뒤퐁
맨틀 오브 프레이즈 미니스트리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A Hole in the Wall"
November 2, 2004
"담에 난 구멍"
2004년 11월 2일
[An Appointed Time]
In March of this year, after ministering in Melbourne, Australia, I took a day off to visit some friends in Sydney. On the ride to Manly Beach from the airport the Holy Spirit began to speak a word to me concerning integrity for those in church leadership around the globe. Some eight months later I am sensing it is time to release the word. One of the lessons I have learned the hard way over the years is to not give a word prematurely. Often the Lord will give a word well before the appointed time of release. This may be because intercessory prayer is necessary as part of the preparation or it may be that it will take the hearer of the word a bit of time to get the whole word. On occasion, it is because the Lord wants the messenger of that word to grow into the reality of the word before it¹s released to others. For whatever reason, I have not sensed the timing of the Lord to release this until now.
[정한 때]
2004년 3월에 호주 멜버른의 사역을 마치고, 저는 시드니에 있는 한 친구를 만나러 갔습니다. 공항에서 맨리 비치로 가는 길에 성령께서 제게 말씀하시기 시작하셨는데, 전세계 교회 지도자들의 정결함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말씀하신지 8개월 정도 지났는데, 저는 지금이 그 말씀을 나눌 때라고 생각됩니다. 수년동안 주님께서는 제가 어떤 말씀을 받았을 때에 그 말씀을 때가 이르기 전에는 나누지 못하도록 훈련시키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아직 나눌 때가 되기도 전에 미리 말씀을 주시기도 합니다. 이것은 중보기도로써 그것을 준비하기 위해서일 수도 있고, 그 말씀을 듣는 자가 그 말씀을 완전히 받을 수 있기까지 시간이 필요해서일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그 말씀을 전하는 자가 다른 사람에게 말씀을 나누기 전에 그 말씀 안에서 자라기를 원하시기 때문인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이유이든, 저는 이 때에 주님께서 이 말씀을 나누라고 하신다고 생각됩니다.
Usually when we think of an appointed time we think of a long awaited break through of blessings. An example would be the Lord telling Abraham that at the ³appointed time² He would return and the long awaited child of promise would be born to Sarah. Psalm 102:13 tells us that, at God¹s appointed time, He arises and has ompassion on His people. Habakkuk, the prophet, encourages us to hang on to the visions God gives us because they will come to pass at the appointed time! Obviously God is good to His people all the time but there are certain appointed times of significant breakthrough.
Certainly Jesus, the Messiah, came at an appointed time.
보통 우리는 "정한 때"라고 하면, 오랫동안 기다려온 축복이 부어지는 순간을 생각합니다. 한 예로 주께서 아브라함에게 ‘기한이 이를때에’ 다시 오시겠다고 하시면서, 그때에 사라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언약의 아이를 낳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시편 102편 13절에서는 하나님의 정한 기한이 오면, 주께서 일어나사 그의 백성을 긍휼히 여기실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하박국 예언자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비전에 꼭 붙어 있으라고 격려하였는데, 정한 때가 곧 올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항상 좋은 것을 주시는 분인 것은 분명하지만, 때로는 특정한 때를 정하셔서 놀라운 것을 부어주기도 하십니다.
메시아이신 예수님도 분명히 정한 때에 오셨습니다.
The basic understanding of an appointed time is very simple. It is a time that God has fixed, or determined to release, or impart, something at a very particular date or season, according to His sovereignty. Whether we are prepared or not, if we are the intended recipients of that impartation we either experience it, or as with Jerusalem, we can miss the time of visitation or blessing. However, not only are there appointed times of blessings but, on occasion, those appointed times are seasons of judgment.
Psalm 75, verse 2, reads: ³When I select an appointed time, it is I who judge with equity.²
"정한 때"라는 것은 간단히 말해서 하나님께서 무엇인가를 풀어주시거나 넘겨주시기로 예정 또는 결정해놓으신 때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에 따라 특별하게 정하신 날 혹은 시기입니다. 우리가 준비되었느냐와는 상관없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어떤 것을 주기로 하셔서 정한 때가 이르면 우리는 그것을 받거나 아니면 놓칠 것입니다-예루살렘에서도 정한때에 예수님이 오셨지만 그들은 그분의 오심과 축복을 놓쳤던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정한 때는 축복만을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라 때때로 심판을 위해 정한 때도 있습니다.
시편 75편 2절에는 ‘내가 정한 기약을 당하면 정의로 판단하리니’라고 하였습니다.
Often when the body of Christ considers judgment and repentance we make two crucial errors. First, we think that His judgment is only reserved for the lost, or those outside of the church. 1 Peter tells us, however, that judgment does not start first with the lost, or nonbelievers. Rather, it starts first with the church (1 Peter 4:17). Second, we often misunderstand God¹s intentions when He does release judgment on His sons and daughters.
The Father¹s heart for us is always one of restoration rather than destruction. Sometimes He wants to break us down so that He can build us up!
We fall into this second misperception because we really don¹t understand that God¹s heart is so very much for us. When God revealed a bit of His glory to Moses in Exodus 34, He stated that He was ³slow to anger². Hebrews
12:11 reads: ³All discipline for the moment seems not to be joyful, but sorrowful; yet to those who have been trained by it, afterwards it yields the peaceful fruit of righteousness².
흔히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심판과 회개에 대해서 두가지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하나님의 심판은 믿지 않는 사람이나 교회 바깥의 사람에게 내려진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베드로전서에서, ‘하나님 집에서 심판을 시작할 때가 되었나니 만일 우리에게 먼저 하면 하나님의 복음을 순종치 아니하는 자들의 그 마지막이 어떠하며’(벧전 4:17)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하나님께서 그의 아들과 딸들을 심판하실때 하나님의 진정한 의도를 오해합니다. 우리를 향한 아버지의 마음은 언제나 회복시키고자 하시는 것입니다. 파괴하시려는 것이 아닙니다. 때때로 그분은 우리를 깨뜨리심으로써 그분이 우리를 세울 수 있게 하십니다.
우리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이 얼마나 큰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위의 두번째와 같은 착각을 하게 됩니다. 출애굽기 34장을 보면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그의 영광의 일부를 나타내실때, ‘노하기를 더디’한다고 말씀하십니다. 히브리서 12장 11절에는 "무릇 징계가 당시에는 즐거워 보이지 않고 슬퍼 보이나 후에 그로 말미암아 연달한 자에게는 의의 평강한 열매를 맺나니’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God is patient and longsuffering. There comes a time, however, when not out of anger but out of deep love and concern for us, He will release judgment for the sake of correction and healing. Usually, at that point, we (the
sinners) are standing at a dangerous precipice. We can think of an extreme case of sin in the life of a Christian such as the man in the church in Corinth who was actually having sex with his own stepmother. Paul stated that he ³decided to deliver such a one to Satan for the destruction of his flesh². It is critical that we realize Paul¹s motivation. He continued on in
1 Cor. 5:5, ³...so that his spirit may be saved in the day of the Lord Jesus². In such cases, God¹s purpose is not eternal damnation but rather to bring our hearts to repentance to come back to a place of wholeness in Christ. There is a certain sin Jesus spoke of that is unto eternal judgment
하나님은 오래 참고 인내하십니다. 그러나 정한 때가 이르면, 하나님께서는 분노가 아닌 깊은 사랑과 관심에서 비롯된 심판으로 우리를 치유하시고 고치실 것입니다. 보통 이 때에 우리들(죄인들)은 아주 위험한 절벽끝에 서게 됩니다. 아주 극단적인 예로써, 고린도교회에는 계모와 간음한 자가 있었습니다.
바울은 ‘이런 자를 사단에게 내어주었으니 이는 육신은 멸하고’라 하였습니다. 여기서 바울의 동기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는 고린도전서 5장 5절에서 계속해서 ‘영은 주 예수의 날에 구원 얻게 하려 함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런 경우에 비추어봤을때, 하나님의 목적은 영원한 저주를 내리는 것이 아니요 우리가 마음으로부터 회개해서 그리스도 안의 온전한 데로 돌아오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The Responsibility of Gatekeepers]
Additionally, God will release judgment not only for the sake of the saint who has given himself over to a sin but also for the sake of the church.
Jesus told us that to whom much is given, much is required (Luke 12:48).
This is especially true for leaders in the body of Christ because in the place of their authority they become a filter, or grid, by which blessings and/or curses are released to the church. Because of their authority, they are, in effect, gatekeepers to the church. When they are practicing hidden sin, an open door for sin and/or the demonic is opened up. A little leaven leavens the whole lump of dough!
[문지기의 책임]
더나아가, 하나님께서는 스스로 죄를 지은 성도에게 심판을 내리실뿐 아니라 교회에도 심판을 내리실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많이 받은 자에게는 많이 찾을 것이요’(눅 12:48)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특별히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지도자에게 해당됩니다. 지도자들은 권위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교회에 축복 혹은 저주가 들어오는 필터가 됩니다. 권위 때문에 실제로 지도자는 교회의 문지기입니다. 지도자가 죄를 숨기고 계속 행한다면, 죄를 향해 문이 열리게 되고 악한 자들이 활개를 치게 됩니다. 적은 누룩이 온 덩어리를 부풀게 합니다!
When leadership is right with God - living in love, grace and humility - they are an open door for the body of Christ to experience more and more of the fullness of Christ. As leaders, we can be either vessels of purity by which pure water can flow out or vessels with mud and debris within them, which in turn release polluted water. No matter how pure the incoming water, if the vessel is polluted, mixed water flows out. The messenger is the message; the teacher is the teaching; and the prophet is the prophecy. It¹s not so much the mere words we speak to the church. It is who we are that impacts people the most.
지도자가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 안에서 사랑과 은혜, 겸손으로 살아갈 때, 지도자는 충만하신 그리스도를 교회가 점점더 받게 하는 열린 문과 같습니다. 지도자는 깨끗한 물을 흘려보내는 깨끗한 그릇이거나 아니면 오염된 물이 내보낼 수 밖에 없는 진흙과 찌끼가 찬 그릇일 것입니다. 들어오는 물이 아무리 깨끗할지라도 그릇이 오염되어 있다면 나가는 물은 더러워집니다. 메시지를 전하는 사람 자체가 곧 메시지입니다. 다시 말해서 가르치는 사람이 곧 그 가르침이고, 예언하는 사람이 곧 예언 그 자체입니다. 지도자가 교회에서 선포할때 말 이상의 것이 전달됩니다. 사람들에게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지도자 자신입니다.
The Lord spoke that He is going to begin to release judgment and exposure to leaders in the body of Christ who are practicing sin. This release of judgment unto restoration will be on a broad level. This is not to say God is requiring leaders to be perfect because only Jesus is perfect. The apostle Paul differentiated between those who occasionally commit sin and those who practice sin (Romans 2:1, Galatians 5:21 & Ephesians 4:19). When someone practices something, they do it over and over again to the point of getting good at it. Because of their position and ministry, leaders in the church who live in sin, keep their sin hidden out of necessity.
주님께서는 심판을 시작하시고 교회의 지도자들이 행하고 있는 죄를 드러낼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러한 심판으로 회복케하시는 역사는 광범위하게 일어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지도자들이 완벽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예수님만 온전히 완벽하십니다. 사도 바울은 어쩌다가 죄를 짓는 것과 계속해서 같은 죄를 짓는 것은 다르다고 하였습니다. (롬 2:1, 갈 5:21, 엡 4:19). 어떤 사람이 계속해서 무엇을 한다는 것은, 반복에 반복을 거듭해서 그것이 몸에 배게 될때까지 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도자가 이러한 죄에 빠지면, 자신의 위치와 사역 때문에 부득이 그 죄를 숨기려고 합니다.
God did not say He was demanding sinless perfection from His leaders, rather men and women who are true examples of humility (dependence on God), grace, mercy and love. They are free to abound in receiving God¹s love because they are free to be transparent due to the lack of hidden sin and the ensuing lack of hidden shame.
하나님께서는 지도자가 죄를 전혀 짓지 않는 완벽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도리어 겸손(하나님께 의지하는 것)과 은혜, 자비와 사랑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남자와 여자를 원하십니다. 이런 사람들은 하나님의 사랑을 풍성히 받아 누립니다. 숨어있는 죄로 인해 수치를 받지 않기 때문에 빛가운데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When David rhetorically asked, ³Who will ascend the hill of the Lord,² he answered, ³Those with pure hearts and clean hands.² Purity and cleanliness are prerequisites for deep intimacy with God. The apostle Paul stated that many suffered needlessly because of hidden sin. He said that many are sick and have fallen asleep (died prematurely) because of hidden sin and not judging themselves correctly (1 Cor. 11:30).
다윗이 강조해서 말하기를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 누구며’라고 물은뒤, 답하기를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한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깨끗함과 청결함은 하나님과 깊은 친밀감을 갖는데 필수조건입니다. 사도 바울은 많은 사람이 숨겨놓은 죄 때문에 불필요하게 고통당한다고 하였습니다. 바울은 많은 사람이 병들고 잠잔다(요절한다는 의미로)고 했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죄를 숨기고 스스로를 바르게 판단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고전 11:30).
Due to a lack of truly seeking the face of God and experiencing much of His glory in the contemporary Western World church, there has been a corresponding lack of a fear of God. Paul wrote to the church of Philippi to work out their salvation in ³fear and trembling² because it is the living God within them who wants to work out His will and good pleasure. This lack of intimacy with the person of God has resulted in a low regard for holiness, which combined with the lack of intimacy, creates an impotency in regards to the power of God being manifested through the church!
현대 서구의 교회에는 진실되게 하나님의 얼굴을 구하는 것과 그분의 영광을 경험하는 것이 결핍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것도 부족하게 되었습니다. 바울은 빌립보 교회에게 ‘두려움과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고 하였습니다. 살아계신 하나님이 그들 안에 계시고, 하나님은 그들 안에서 당신의 뜻과 기뻐하시는 것을 이루기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사람과 친밀감이 부족하게 되면 그 결과 거룩함에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게 되고 하나님과의 친밀감도 부족하게 되며, 교회를 통해 드러나시는 하나님의 권능도 무력하게 됩니다!
God wants to pour out His Spirit in an ever-increasing way. However, just as the devil found it was very dangerous to stand in the midst of the mountain of the Lord with sin in his heart, so it is true for the saints today, especially leadership. If it is true that judgment starts first with the household of God, then it is more than likely that judgment starts first with leaders. After all, the hardest words Jesus spoke to the people of Israel were for the leaders, not the prostitutes or thieves. Among the seven woes Jesus spoke of to the religious leaders of His day was the admonishment that they were like cups cleansed on the outside but filthy on the inside.
This is a picture of leaders in the church who look the part of a good leader but their hearts and secret lifestyles are unclean.
하나님께서는 무궁히 그의 성령을 부어주기 원하십니다. 그러나 악한 자가 마음에 죄를 품고 주님의 산 가운데 서는 것을 두려워하는 하는 것처럼, 오늘날의 성도들, 특별히 지도자들은 더더욱 그러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집에서부터 심판이 시작된다는 것이 맞다면, 심판은 우선 지도자로부터 시작될 것이 분명합니다. 예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신 말씀 중 가장 엄한 말씀은 창녀나 도둑에게 하신 말씀이 아니라 지도자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당시 종교 지도자들에게 화 있을찐저라고 말씀하신 일곱가지 내용은 그들이 겉은 깨끗하나 속은 더럽다는 경고였습니다. 이는 지도자가 교회에서 그럴듯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 마음과 또 삶의 은밀한 부분은 깨끗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 Hole in the Wall!]
Ezekiel, chapter 8, relates several powerful visions the prophet experienced. One of the most poignant is of God directing Ezekiel to dig through the wall of the temple only to find the elders in deep, hidden sin.
Verse 10 reads: ³So I entered and looked, and behold, every form of creeping things and beasts and detestable things, with all the idols of the house of Israel, were carved on the wall all around.² It goes on to say that in front were the elders who were burning incense unto the Lord in the midst of their sin. The passage is compelling in that it relates God¹s intense disgust and hatred of the hypocrisy and impurity. If that was how strongly God felt about sin in the temple prior to men and women having the Holy Spirit live within themselves, how much more should there be a priority of personal holiness today!
[담에 난 구멍]
에스겔 8장에는 예언자가 본 몇가지 놀라운 환상이 씌여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신랄한 것은 하나님께서 에스겔에게 성전 벽을 헐라고 하셨을 때 그 안에서 장로들의 숨겨진 죄가 발견되는 환상일 것입니다. 10절은 ‘내가 들어가보니 각양 곤충과 가증한 짐승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우상을 그 사면 벽에 그렸고’라 씌였고 이어서 그 장로들이 죄 가운데 서서 주 앞에 향로를 들었다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이것을 몹시 가증하게 여기시고 그들의 위선과 음란을 미워하십니다. 하나님께서 그들 중에 성령이 계시는데도 성전에서 죄를 짓는 남자와 여자에게 이토록 노하셨다면, 오늘날의 개인의 거룩함은 얼마나 더 중요한 것이겠습니까!
There are going to be some who read this and react with a concern that I am promoting a return to legalism or a performance-oriented relationship with God. It is quite the contrary. I believe God is calling us to embrace holiness and to hate sin out of a relationship of grace, mercy and intimacy with Him that only the cross could achieve. One of the classic definitions of Biblical grace is that grace does not give us the freedom to do what we want and get away with it. Rather, true grace gives us the freedom to be the person God wants us to be. The cross has given us access to God but it is up to us to choose to walk in the freedom of the cross and the Holy Spirit! We are not trying to earn anything from God here, but out of love wanting to be imitators of our Lord Jesus. At the very least we need a revelation today that the Holy Spirit is the ³Holy² Spirit of God!
어떤 사람들은 이 글을 읽고 내가 율법주의나 행위 위주로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를 만들어내려고 한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저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도리어 저는 하나님께서 우리가 거룩함을 입도록 부르셨다고 믿습니다. 또한 그분의 은혜와 자비, 그분과의 친밀함에서 벗어나게 하는 죄를 미워하도록 부르셨다고 믿으며, 이 모든 것은 오직 십자가에서만 얻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성경적인 은혜란, 우리가 원하는대로 아무데나 가는 것이 아닙니다. 진정한 은혜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모습의 사람이 되게 하는 자유를 줍니다. 하나님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십자가의 길이 우리에게 주어졌습니다. 그러나 십자가의 진정한 자유와 성령을 따라 그 길을 걸어가는 것은 자신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이 길에서는 하나님께 뭔가를 더 얻어내려고 노력할 것이 없습니다. 다만 사랑을 통해서 우리 주 예수를 더 닮아갈 뿐입니다. 다만 오늘날 우리에게 성령님이 하나님의 "거룩한" 영이라는 계시가 꼭 필요합니다.
I do not know how long this appointed season of cleansing and pruning will be. I do sense it will go more towards the deep part of the pool rather than the shallow end. Already, just in the eight months since the Lord began to give this word, three major leaders of international ministries I know personally, who live in three different continents, have had sexual sin exposed in their lives greatly to the surprise of those close to them. I am not saying this season is unto the immediate return or the Lord, although only the Father knows the time of Christ¹s return. Rather, I believe this is a John 15 time of pruning because God wants to bring about greater fruitfulness for the Kingdom of God and greater purity in the Bride of Christ.
이러한 정결케하고 깨끗케하는 기간이 얼마나 오래갈지는 모릅니다. 제가 느끼기에 이러한 일이 웅덩이의 얕은 곳 뿐 아니라 깊은데까지 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님께서 이 말씀을 내게 주신 뒤 8개월 동안 세명의 지도자가 성적인 범죄를 저지르고 있던 것이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모두 제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자 서로 다른 대륙에 사는 분들이었는데, 이 일로 인해 그분들과 가까웠던 사람들 모두가 크게 충격을 받았습니다. 저는 지금이 주님 다시 오시는 재림의 때라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의 다시 오실 때는 아버지만이 알고 계십니다. 다만, 제가 믿기로 이 때는 요한복음 15장의 "가지를 깨끗케 하시는" 때이며, 하나님께서는 이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에 많은 열매가 맺히고 그리스도의 신부를 깨끗하게 하시길 원하십니다.
[Davids & Sauls]
After Psalm 75 speaks of an appointed time for judgment (verse 2), it goes on to speak of the Lord promoting people (verses 6 & 7). This, as well, has to do with the greater fruitfulness the Lord wants to bring about through this pruning. Normally, when a Christian leader has hidden sin in their life, the accompanying guilt, shame and insecurity render them very controlling - controlling to the point of keeping the younger Davids that God is raising up from entering into their potential. Right now, there are many Davids serving under Sauls. These Davids are being kept back and, often times, attacked as David was because of King Saul¹s deep insecurity. It can be hard to read these present day Sauls because, like the Saul of old, they have an anointing in their life and know how to do the outward stuff. When the Holy Spirit opens a hole in the wall of their soul, though, there can be detestable things of every sort made visible. Often, everyone knows, or suspects, the problems with a Saul, but it is not until the Holy Spirit reveals it that action can be taken.
[다윗과 사울]
시편 75편에서 시편 기자는 먼저 심판을 위해 정한 기약에 대해 말한 다음(2절), 주님께서 사람을 높이시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6, 7절). 이는 또한 가지가 깨끗케 되었으면 이제는 주님께서 맺기 원하시는 많은 열매가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크리스찬 지도자가 죄를 숨기고 살면 그에 수반되는 죄책감, 부끄러움 ,불안감 때문에 이들은 다른 사람을 조정하려고 합니다.- 다윗의 잠재력을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려고 하는데도 어린 다윗을 자기 아래에 붙들어놓으려고 조정합니다. 지금 이때에도 많은 다윗이 사울 아래에서 섬기고 있습니다. 다윗과 같은 이들은 억제당하고 때로는 공격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사울에게 있어서 다윗은 위협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의 사울이 누구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옛 사울과 같이 오늘날의 사울도 기름부으심을 받았고, 외적인 행실은 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령님께서 그들 영혼의 담에 구멍을 내실 때 모든 종류의 가증스러운 것들은 보여지게 될 것입니다. 종종 누구나 사울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추측합니다. 그러나 성령님께서 나타내주지 않으시면 이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The sins God especially wants to deal with are the big three. Just as Africa has the ³big five² game animals people on safari watch out for - the lion, elephant, rhinoceros, leopard and buffalo - there also are the ³big three G² sins ministry leaders must especially watch out for. They are girls (sexual sin), gold and glory.
하나님께서 특히 다루고자 하시는 죄는 큰 나무와 같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사파리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경계해야 하는 "다섯가지 큰" 짐승이 사자, 코끼리, 코뿔소, 표범 그리고 들소인 것처럼, 사역의 지도자들도 특별히 경계해야 하는 ‘세가지 큰 G’가 있습니다. 여자(girl 성적 범죄), 황금gold 그리고 영광glory이 그것입니다.
Stealing God¹s glory by constantly drawing attention to self and building one¹s own empire, or ministry, may be even a more serious sin to God than sexual or financial sin. God wants to share His glory with us but He will not allow us to steal it! Taking glory to oneself rather than giving it to God can be a much more subtle sin than the other two. As others before have pointed out, spiritual pride is only revealed (by the Holy Spirit). It is not usually detected (except by others around you). One of the boldest prayers in the Bible is David¹s in Psalm 139. He writes, ³Search my heart, O God, and see if there be any hurtful ways with me.² God is faithful. Just as He is quick to forgive when we are honest with Him (1 John 1:9), He is also quick to give us insight regarding sin in our hearts if we choose to truly be vulnerable with Him. The problem, however, is that when one is practicing sin, shame causes one to ³cover up,² much like Adam and Eve in the Garden.
하나님의 영광을 훔치는 것은, 사람들의 이목을 끊임없이 자신에게로 끌어당겨서 자기가 지배하거나 자기의 사역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 성적인 죄 혹은 돈에 관련된 죄보다도 더 심각한 죄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영광안에 우리가 함께 있기를 원하시지만 우리가 그의 영광을 훔치는 것은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않고 사람이 영광을 취하는 것은 다른 두가지보다 포착하기가 더 어려운 죄입니다. 이전에도 지적되었듯이, 영적인 교만은 오직 성령에 의해서만 드러납니다. 보통 이것은 주변 사람들에게 밖에는 잘 발견되지 않습니다. 성경에 기록된 가장 담대한 기도중 하나는 다윗이 쓴 시편 139편입니다. 그는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나를 시험하사 내 뜻을 아옵소서’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할때 속히 용서하십니다(요일 1:9). 또한 하나님은 그분 앞에 우리가 진실로 연약한 상태로 있을때 우리에게 죄에 대하여 속히 깨닫게 하십니다. 그러나 문제는 어떤 사람이 습관적으로 죄를 짓고 있다면, 수치로 인해 "가려져서" 에덴동산의 아담과 하와처럼 숨게 된다는 것입니다.
In closing allow me to reiterate the fact that God is not bringing judgment or chastisement out of wrath but out of love. To quote the writer of Hebrews
again: ³God deals with you as with sons; for what son is there whom his father does not discipline? But if you are without discipline, of which all have become partakers, then you are illegitimate children and not sons.
Furthermore, we had earthly fathers to discipline us, and we respected them; shall we not much rather be subject to the Father of spirits, and live? For they disciplined us for a short time as seemed best to them, but He disciplines us for our good, so that we may share His holiness², Heb.
12:7-10. In a nutshell, God calls us, provokes us and chastises us to holiness out of His great love for us. On the flip side, to pass off the warning signs could be costly. It could cost one¹s marriage, family, ministry and even one¹s health - emotionally, spiritually and physically. As
1 Peter 1:16 reads: ³you shall be holy, for I am holy²! Holiness must be more than a mere confession of heaven to come!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는 이유는 진노가 아닌 사랑 때문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하나님이 아들과 같이 너희를 대우하시나니 어찌 아비가 징계하지 않는 아들이 있으리요 징계는 다 받는 것이거늘 너희에게 없으면 사생자요 참 아들이 아니니라 또 우리 육체의 아버지가 우리를 징계하여도 공경하였거든 하물며 모든 영의 아버지께 더욱 복종하여 살려 하지 않겠느냐 저희는 잠시 자기의 뜻대로 우리를 징계하였거니와 오직 하나님은 우리의 유익을 위하여 그의 거룩하심에 참예케 하시느니라’(히 12:7-10)고 하였습니다. 요약하면, 하나님은 우리를 부르시고, 우리를 일으키시고, 거룩함에 이르도록 우리를 징계하십니다. 반대로,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하면 그 대가가 있습니다. 결혼, 가정, 사역, 심지어 자신의 건강-감정적, 영적, 신체적인 건강까지도 대가로 치를 수 있습니다. 베드로전서 1장 16절에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찌어다’라 하셨습니다! 거룩함은 단순한 자백을 넘어서서 하늘이 임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Below I have listed a few simple steps that may be appropriate for those leaders who are in bondage and truly desire to get free. Sometimes when we, as leaders, are going through things we need the simple reminders of what we already know so well.
아래에 몇가지 간단한 단계를 적어놓았습니다. 지도자가 묶임에서 놓여 진정으로 자유케되기를 원한다면 이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우리가 지도자로서 어떤 일을 할때,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기억할 수 있도록 이러한 것이 필요합니다.
1. Find someone, a peer, with whom you can be vulnerable and truthful.
When Jesus instructed the disciples to wash one another¹s feet He was speaking to a group of peers in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masses.
Sometimes you need a peer to understand the unique battles you are facing.
This may end up being someone who is outside of your church. It does need to be someone, however, to whom you can be accountable. They need to be someone who will blow the whistle on you if you do not truly proceed with steps of restoration. In Psalm 32:2 David said, ³When I kept silent about my sin, my body wasted away.² It may or may not be your body that wastes away but it will be your identity, balance and emotional health that fall apart because of the ravages of guilt and shame.
1. 자신의 약한 모습까지도 다 보일 수 있는 진실한 사람을 구하십시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서로 발을 씻기라고 가르치쳤을때, 예수님은 군중이 아니라 그와 관계를 맺고 있는 그의 동료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때때로 여러분께는 여러분이 직면한 영적전쟁을 이해해줄 동료가 필요합니다. 그 사람은 교회 밖의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사람은 당신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당신이 회복의 과정을 제대로 하지 않을 때 당신을 일깨워줄 사람이 필요합니다. 시편 32편 3절에서 다윗은 ‘내가 토설치 아니할 때에 종일 신음하므로 내 뼈가 쇠하였도다’라고 하였습니다. 몸은 상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죄책감과 수치로 인해 사람의 정체성, 균형감 그리고 감정적인 건강은 파괴됩니다.
2. If your sin is ³hands on² sin, such as sexual sin or financial
impropriety, it needs to be brought out to the leadership team of your ministry. Most always you will need to step down from ministry for a time of restoration. Do not allow pride or fear of losing your calling get in the way. God¹s primary will for you is to become Christ-like rather than to simply use you in ministry. He loves you for who you are, not merely for what you do!
2. 만약 당신의 죄가 ‘실제적인’ 죄인 경우, 예를 들어 성적인 범죄나 재정의 오용일 때, 사역의 지도자 그룹에게 이를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경우 당신이 이 과정을 거치는 동안 사역을 내려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교만하지도 말고 당신의 부르심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워하지도 마십시오. 하나님의 최우선의 목표는 당신이 그리스도를 닮도록 하는 것이지 단순히 당신을 사역에 쓰려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무엇을 해서가 아니라 내가 누구인가 하는 것 때문에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3. If you are a married leader who has committed adultery, you need to confess this to your spouse. The damage is already being done. Even though they may be ignorant of the actual sin, they are already being hurt. It is only through the process of confession, repentance and forgiveness that true restoration to a loving relationship of trust can be restored. It would be wise to first get good counsel as to how to confess this to family members and the church. Don¹t be surprised if the forgiveness is preceded by anger over the betrayal. Do, however, realize that the long-term goal of wholeness is worth the cost of bringing the darkness into the light.
3. 결혼한 지도자로서 간음을 저질렀다면, 이것을 배우자에게 자백할 필요가 있습니다.손해는 이미 났습니다. 그 죄를 모르고 있었다고 해도 그들은 이미 상처를 입었습니다. 자백과 회개, 용서가 아니고는 사랑의 관계는 바르게 복구되지 않고, 신뢰는 회복될 수 없습니다. 가족과 교회에 어떻게 자백할지에 대해서는 우선 좋은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배우자가 당신의 배신에 대해 분노가 아니라 용서를 하더라도 놀라지 마십시오. 그러나 온전함에 이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어두움을 빛으로 가져갈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아십시오.
4. Even if you are in a good state, work hard at building real
relationships of heart to heart communication with your spouse and a few people in your leadership team or church. One of the easiest ways for the enemy to set us up is through isolation. Build relationships so we can easily take care of the ³little foxes in the garden² before they turn into raging lions let loose in our souls. Building equity in relationships is like building equity in a home mortgage. It takes time and work. Once you have a lot of equity built up in a relationship, it¹s just as with your house. In a time of difficulty it is money in the bank and you can borrow on it if need be!
4. 만약 당신이 좋은 위치에 있다면 당신의 배우자나 지도자그룹 또는 교회에서 몇 사람들과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진정한 관계를 세우도록 노력하십시오. 원수가 우리를 공격하는 가장 쉬운 방법중 하나는 외로움입니다. 관계를 개발하십시오. 그러면 "정원의 작은 여우"가 변해서 "우리를 삼키기 위해 울부짖는 사자"가 되기 전에 이것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주택적금에 매달 돈을 저축하듯이 관계에 있어서도 미리 저축하십시오. 이러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관계에 있어서 많이 저축해두는 것은 집 문제에서와 마찬가지입니다. 어려운 때가 되면 필요에 따라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5. Lastly, and most import!!antly, learn, or perhaps relearn, the art of waiting on God. Many leaders are to be commended for their time spent in intercessory prayer. However, spending time simply gazing upon God, communing with Him and waiting upon His good pleasure is vital to fully walking in the Spirit of the Lord. Without this type of ³watching² prayer, as Habakkuk practiced, it is easy to fail to see and hear the warning signs the Holy Spirit would give to us from the quietness of God¹s heart. It is in this place where we can receive from the Father those minor, easy to fix corrections rather than needlessly heading towards the big judgments that bring everything to a painful halt.
Marc A. Dupont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November 2, 2004
5. 마지막으로,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을 기다리는 법을 배우십시오. 이것을 다시 익히십시오. 많은 지도자가 자신의 시간을 중보기도에 사용하도록 위임받습니다. 그렇지만 단순히 하나님을 잠잠히 바라보고 하나님과 친밀하게 이야기하고 그분의 기쁘신 뜻을 기다리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통해 주의 영 안에서 충분히 걷도록 생기를 얻게 됩니다. 이렇게 ‘잠잠히 바라는’ 기도가 없이는, 하박국이 그랬던 것처럼, 하나님 마음의 은밀한 것까지 아시는 성령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경고사인을 보거나 듣는데 실패하기 쉽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작고 교정하기 쉬운곳에서 아버지께로부터 받는 것입니다. 불필요하게 큰 심판을 향해 가다가 사역이 아프게 중단될 필요는 없습니다.
마크 A. 뒤퐁
맨틀 오브 프레이즈 미니스트리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2004년 11월 2일.
[마크 뒤퐁] 200411 담에 난 구멍
From: Marc A. Dupont
Sent: Wednesday, November 10, 2004 8:17 AM
To: Leaders, International
Subject: "A Hole in the Wall"
보낸사람 : 마크 A. 뒤퐁
보낸날짜 : 2004년 11월 10일 수요일 오전 8:17
받는사람 : 세계 지도자들에게
메일제목 : ‘담에 난 구멍’
Dear Leader and co/laborer in the Body of Christ,
Please find below, and as an attachment, a prophetic word the Lord has given me called "A Hole in the Wall". I am sending this out primarily just to leaders in the Body of Christ. As well, I am sending it out with a great deal of prayer, concern, and hope.
Normally when I receive a word the Lord wants me to post at large, I simple send it out to a few leaders and put it out on a few different web sites.
With this one, however, I am asking you to prayerfully consider sending it out to as many leaders you personally know in the body of Christ. I do feel this is a word of timely import!!ance for leaders internationally.
If you do sent it out to different leaders, I would ask that you use the option with your email program of hiding the names and addresses of others you send it to. This is simply out of concern of more leaders ending up on "lists" filled with spam.
In Christ"s great love,
Marc A. Dupont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교역자와 사역자님께.
저는 주님께서 제게 예언의 말씀으로 주신 것을 "담에 난 구멍"라는 제목으로 여러분과 나누고 싶습니다. 먼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교역자님들께서 이 말씀을 받아주십시오. 저는 많은 기도와 관심과 소망안에서 이 내용을 보냅니다.
보통 제가 말씀을 받을때 주님께서는 공개적으로 그 내용을 알리도록 하십니다. 그래서 저는 간단히 몇몇분의 교역자님께 말씀을 보내고 또 여러 웹사이트에도 그 내용을 올립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여러분께서 직접 충분히 기도하시는 가운데 이 내용을 여러분이 알고 계신 다른 많은 교회의 교역자님들께도 보내주시면 좋겠습니다. 제 생각에 이 말씀은 전세계의 교역자님들이 이 시기에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말씀이라고 생각됩니다.
여러분이 이 내용을 이메일로 보내실때에는 이 메일이 스팸메일로 취급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주시기 바랍니다.
그리스도의 크신 사랑 안에서
마크 A. 뒤퐁
맨틀 오브 프레이즈 미니스트리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A Hole in the Wall"
November 2, 2004
"담에 난 구멍"
2004년 11월 2일
[An Appointed Time]
In March of this year, after ministering in Melbourne, Australia, I took a day off to visit some friends in Sydney. On the ride to Manly Beach from the airport the Holy Spirit began to speak a word to me concerning integrity for those in church leadership around the globe. Some eight months later I am sensing it is time to release the word. One of the lessons I have learned the hard way over the years is to not give a word prematurely. Often the Lord will give a word well before the appointed time of release. This may be because intercessory prayer is necessary as part of the preparation or it may be that it will take the hearer of the word a bit of time to get the whole word. On occasion, it is because the Lord wants the messenger of that word to grow into the reality of the word before it¹s released to others. For whatever reason, I have not sensed the timing of the Lord to release this until now.
[정한 때]
2004년 3월에 호주 멜버른의 사역을 마치고, 저는 시드니에 있는 한 친구를 만나러 갔습니다. 공항에서 맨리 비치로 가는 길에 성령께서 제게 말씀하시기 시작하셨는데, 전세계 교회 지도자들의 정결함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말씀하신지 8개월 정도 지났는데, 저는 지금이 그 말씀을 나눌 때라고 생각됩니다. 수년동안 주님께서는 제가 어떤 말씀을 받았을 때에 그 말씀을 때가 이르기 전에는 나누지 못하도록 훈련시키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아직 나눌 때가 되기도 전에 미리 말씀을 주시기도 합니다. 이것은 중보기도로써 그것을 준비하기 위해서일 수도 있고, 그 말씀을 듣는 자가 그 말씀을 완전히 받을 수 있기까지 시간이 필요해서일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그 말씀을 전하는 자가 다른 사람에게 말씀을 나누기 전에 그 말씀 안에서 자라기를 원하시기 때문인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이유이든, 저는 이 때에 주님께서 이 말씀을 나누라고 하신다고 생각됩니다.
Usually when we think of an appointed time we think of a long awaited break through of blessings. An example would be the Lord telling Abraham that at the ³appointed time² He would return and the long awaited child of promise would be born to Sarah. Psalm 102:13 tells us that, at God¹s appointed time, He arises and has ompassion on His people. Habakkuk, the prophet, encourages us to hang on to the visions God gives us because they will come to pass at the appointed time! Obviously God is good to His people all the time but there are certain appointed times of significant breakthrough.
Certainly Jesus, the Messiah, came at an appointed time.
보통 우리는 "정한 때"라고 하면, 오랫동안 기다려온 축복이 부어지는 순간을 생각합니다. 한 예로 주께서 아브라함에게 ‘기한이 이를때에’ 다시 오시겠다고 하시면서, 그때에 사라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언약의 아이를 낳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시편 102편 13절에서는 하나님의 정한 기한이 오면, 주께서 일어나사 그의 백성을 긍휼히 여기실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하박국 예언자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비전에 꼭 붙어 있으라고 격려하였는데, 정한 때가 곧 올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항상 좋은 것을 주시는 분인 것은 분명하지만, 때로는 특정한 때를 정하셔서 놀라운 것을 부어주기도 하십니다.
메시아이신 예수님도 분명히 정한 때에 오셨습니다.
The basic understanding of an appointed time is very simple. It is a time that God has fixed, or determined to release, or impart, something at a very particular date or season, according to His sovereignty. Whether we are prepared or not, if we are the intended recipients of that impartation we either experience it, or as with Jerusalem, we can miss the time of visitation or blessing. However, not only are there appointed times of blessings but, on occasion, those appointed times are seasons of judgment.
Psalm 75, verse 2, reads: ³When I select an appointed time, it is I who judge with equity.²
"정한 때"라는 것은 간단히 말해서 하나님께서 무엇인가를 풀어주시거나 넘겨주시기로 예정 또는 결정해놓으신 때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에 따라 특별하게 정하신 날 혹은 시기입니다. 우리가 준비되었느냐와는 상관없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어떤 것을 주기로 하셔서 정한 때가 이르면 우리는 그것을 받거나 아니면 놓칠 것입니다-예루살렘에서도 정한때에 예수님이 오셨지만 그들은 그분의 오심과 축복을 놓쳤던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정한 때는 축복만을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라 때때로 심판을 위해 정한 때도 있습니다.
시편 75편 2절에는 ‘내가 정한 기약을 당하면 정의로 판단하리니’라고 하였습니다.
Often when the body of Christ considers judgment and repentance we make two crucial errors. First, we think that His judgment is only reserved for the lost, or those outside of the church. 1 Peter tells us, however, that judgment does not start first with the lost, or nonbelievers. Rather, it starts first with the church (1 Peter 4:17). Second, we often misunderstand God¹s intentions when He does release judgment on His sons and daughters.
The Father¹s heart for us is always one of restoration rather than destruction. Sometimes He wants to break us down so that He can build us up!
We fall into this second misperception because we really don¹t understand that God¹s heart is so very much for us. When God revealed a bit of His glory to Moses in Exodus 34, He stated that He was ³slow to anger². Hebrews
12:11 reads: ³All discipline for the moment seems not to be joyful, but sorrowful; yet to those who have been trained by it, afterwards it yields the peaceful fruit of righteousness².
흔히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심판과 회개에 대해서 두가지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하나님의 심판은 믿지 않는 사람이나 교회 바깥의 사람에게 내려진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베드로전서에서, ‘하나님 집에서 심판을 시작할 때가 되었나니 만일 우리에게 먼저 하면 하나님의 복음을 순종치 아니하는 자들의 그 마지막이 어떠하며’(벧전 4:17)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하나님께서 그의 아들과 딸들을 심판하실때 하나님의 진정한 의도를 오해합니다. 우리를 향한 아버지의 마음은 언제나 회복시키고자 하시는 것입니다. 파괴하시려는 것이 아닙니다. 때때로 그분은 우리를 깨뜨리심으로써 그분이 우리를 세울 수 있게 하십니다.
우리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이 얼마나 큰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위의 두번째와 같은 착각을 하게 됩니다. 출애굽기 34장을 보면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그의 영광의 일부를 나타내실때, ‘노하기를 더디’한다고 말씀하십니다. 히브리서 12장 11절에는 "무릇 징계가 당시에는 즐거워 보이지 않고 슬퍼 보이나 후에 그로 말미암아 연달한 자에게는 의의 평강한 열매를 맺나니’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God is patient and longsuffering. There comes a time, however, when not out of anger but out of deep love and concern for us, He will release judgment for the sake of correction and healing. Usually, at that point, we (the
sinners) are standing at a dangerous precipice. We can think of an extreme case of sin in the life of a Christian such as the man in the church in Corinth who was actually having sex with his own stepmother. Paul stated that he ³decided to deliver such a one to Satan for the destruction of his flesh². It is critical that we realize Paul¹s motivation. He continued on in
1 Cor. 5:5, ³...so that his spirit may be saved in the day of the Lord Jesus². In such cases, God¹s purpose is not eternal damnation but rather to bring our hearts to repentance to come back to a place of wholeness in Christ. There is a certain sin Jesus spoke of that is unto eternal judgment
하나님은 오래 참고 인내하십니다. 그러나 정한 때가 이르면, 하나님께서는 분노가 아닌 깊은 사랑과 관심에서 비롯된 심판으로 우리를 치유하시고 고치실 것입니다. 보통 이 때에 우리들(죄인들)은 아주 위험한 절벽끝에 서게 됩니다. 아주 극단적인 예로써, 고린도교회에는 계모와 간음한 자가 있었습니다.
바울은 ‘이런 자를 사단에게 내어주었으니 이는 육신은 멸하고’라 하였습니다. 여기서 바울의 동기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는 고린도전서 5장 5절에서 계속해서 ‘영은 주 예수의 날에 구원 얻게 하려 함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런 경우에 비추어봤을때, 하나님의 목적은 영원한 저주를 내리는 것이 아니요 우리가 마음으로부터 회개해서 그리스도 안의 온전한 데로 돌아오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The Responsibility of Gatekeepers]
Additionally, God will release judgment not only for the sake of the saint who has given himself over to a sin but also for the sake of the church.
Jesus told us that to whom much is given, much is required (Luke 12:48).
This is especially true for leaders in the body of Christ because in the place of their authority they become a filter, or grid, by which blessings and/or curses are released to the church. Because of their authority, they are, in effect, gatekeepers to the church. When they are practicing hidden sin, an open door for sin and/or the demonic is opened up. A little leaven leavens the whole lump of dough!
[문지기의 책임]
더나아가, 하나님께서는 스스로 죄를 지은 성도에게 심판을 내리실뿐 아니라 교회에도 심판을 내리실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많이 받은 자에게는 많이 찾을 것이요’(눅 12:48)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특별히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지도자에게 해당됩니다. 지도자들은 권위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교회에 축복 혹은 저주가 들어오는 필터가 됩니다. 권위 때문에 실제로 지도자는 교회의 문지기입니다. 지도자가 죄를 숨기고 계속 행한다면, 죄를 향해 문이 열리게 되고 악한 자들이 활개를 치게 됩니다. 적은 누룩이 온 덩어리를 부풀게 합니다!
When leadership is right with God - living in love, grace and humility - they are an open door for the body of Christ to experience more and more of the fullness of Christ. As leaders, we can be either vessels of purity by which pure water can flow out or vessels with mud and debris within them, which in turn release polluted water. No matter how pure the incoming water, if the vessel is polluted, mixed water flows out. The messenger is the message; the teacher is the teaching; and the prophet is the prophecy. It¹s not so much the mere words we speak to the church. It is who we are that impacts people the most.
지도자가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 안에서 사랑과 은혜, 겸손으로 살아갈 때, 지도자는 충만하신 그리스도를 교회가 점점더 받게 하는 열린 문과 같습니다. 지도자는 깨끗한 물을 흘려보내는 깨끗한 그릇이거나 아니면 오염된 물이 내보낼 수 밖에 없는 진흙과 찌끼가 찬 그릇일 것입니다. 들어오는 물이 아무리 깨끗할지라도 그릇이 오염되어 있다면 나가는 물은 더러워집니다. 메시지를 전하는 사람 자체가 곧 메시지입니다. 다시 말해서 가르치는 사람이 곧 그 가르침이고, 예언하는 사람이 곧 예언 그 자체입니다. 지도자가 교회에서 선포할때 말 이상의 것이 전달됩니다. 사람들에게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지도자 자신입니다.
The Lord spoke that He is going to begin to release judgment and exposure to leaders in the body of Christ who are practicing sin. This release of judgment unto restoration will be on a broad level. This is not to say God is requiring leaders to be perfect because only Jesus is perfect. The apostle Paul differentiated between those who occasionally commit sin and those who practice sin (Romans 2:1, Galatians 5:21 & Ephesians 4:19). When someone practices something, they do it over and over again to the point of getting good at it. Because of their position and ministry, leaders in the church who live in sin, keep their sin hidden out of necessity.
주님께서는 심판을 시작하시고 교회의 지도자들이 행하고 있는 죄를 드러낼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러한 심판으로 회복케하시는 역사는 광범위하게 일어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지도자들이 완벽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예수님만 온전히 완벽하십니다. 사도 바울은 어쩌다가 죄를 짓는 것과 계속해서 같은 죄를 짓는 것은 다르다고 하였습니다. (롬 2:1, 갈 5:21, 엡 4:19). 어떤 사람이 계속해서 무엇을 한다는 것은, 반복에 반복을 거듭해서 그것이 몸에 배게 될때까지 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도자가 이러한 죄에 빠지면, 자신의 위치와 사역 때문에 부득이 그 죄를 숨기려고 합니다.
God did not say He was demanding sinless perfection from His leaders, rather men and women who are true examples of humility (dependence on God), grace, mercy and love. They are free to abound in receiving God¹s love because they are free to be transparent due to the lack of hidden sin and the ensuing lack of hidden shame.
하나님께서는 지도자가 죄를 전혀 짓지 않는 완벽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도리어 겸손(하나님께 의지하는 것)과 은혜, 자비와 사랑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남자와 여자를 원하십니다. 이런 사람들은 하나님의 사랑을 풍성히 받아 누립니다. 숨어있는 죄로 인해 수치를 받지 않기 때문에 빛가운데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When David rhetorically asked, ³Who will ascend the hill of the Lord,² he answered, ³Those with pure hearts and clean hands.² Purity and cleanliness are prerequisites for deep intimacy with God. The apostle Paul stated that many suffered needlessly because of hidden sin. He said that many are sick and have fallen asleep (died prematurely) because of hidden sin and not judging themselves correctly (1 Cor. 11:30).
다윗이 강조해서 말하기를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 누구며’라고 물은뒤, 답하기를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한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깨끗함과 청결함은 하나님과 깊은 친밀감을 갖는데 필수조건입니다. 사도 바울은 많은 사람이 숨겨놓은 죄 때문에 불필요하게 고통당한다고 하였습니다. 바울은 많은 사람이 병들고 잠잔다(요절한다는 의미로)고 했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죄를 숨기고 스스로를 바르게 판단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고전 11:30).
Due to a lack of truly seeking the face of God and experiencing much of His glory in the contemporary Western World church, there has been a corresponding lack of a fear of God. Paul wrote to the church of Philippi to work out their salvation in ³fear and trembling² because it is the living God within them who wants to work out His will and good pleasure. This lack of intimacy with the person of God has resulted in a low regard for holiness, which combined with the lack of intimacy, creates an impotency in regards to the power of God being manifested through the church!
현대 서구의 교회에는 진실되게 하나님의 얼굴을 구하는 것과 그분의 영광을 경험하는 것이 결핍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것도 부족하게 되었습니다. 바울은 빌립보 교회에게 ‘두려움과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고 하였습니다. 살아계신 하나님이 그들 안에 계시고, 하나님은 그들 안에서 당신의 뜻과 기뻐하시는 것을 이루기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사람과 친밀감이 부족하게 되면 그 결과 거룩함에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게 되고 하나님과의 친밀감도 부족하게 되며, 교회를 통해 드러나시는 하나님의 권능도 무력하게 됩니다!
God wants to pour out His Spirit in an ever-increasing way. However, just as the devil found it was very dangerous to stand in the midst of the mountain of the Lord with sin in his heart, so it is true for the saints today, especially leadership. If it is true that judgment starts first with the household of God, then it is more than likely that judgment starts first with leaders. After all, the hardest words Jesus spoke to the people of Israel were for the leaders, not the prostitutes or thieves. Among the seven woes Jesus spoke of to the religious leaders of His day was the admonishment that they were like cups cleansed on the outside but filthy on the inside.
This is a picture of leaders in the church who look the part of a good leader but their hearts and secret lifestyles are unclean.
하나님께서는 무궁히 그의 성령을 부어주기 원하십니다. 그러나 악한 자가 마음에 죄를 품고 주님의 산 가운데 서는 것을 두려워하는 하는 것처럼, 오늘날의 성도들, 특별히 지도자들은 더더욱 그러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집에서부터 심판이 시작된다는 것이 맞다면, 심판은 우선 지도자로부터 시작될 것이 분명합니다. 예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신 말씀 중 가장 엄한 말씀은 창녀나 도둑에게 하신 말씀이 아니라 지도자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당시 종교 지도자들에게 화 있을찐저라고 말씀하신 일곱가지 내용은 그들이 겉은 깨끗하나 속은 더럽다는 경고였습니다. 이는 지도자가 교회에서 그럴듯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 마음과 또 삶의 은밀한 부분은 깨끗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 Hole in the Wall!]
Ezekiel, chapter 8, relates several powerful visions the prophet experienced. One of the most poignant is of God directing Ezekiel to dig through the wall of the temple only to find the elders in deep, hidden sin.
Verse 10 reads: ³So I entered and looked, and behold, every form of creeping things and beasts and detestable things, with all the idols of the house of Israel, were carved on the wall all around.² It goes on to say that in front were the elders who were burning incense unto the Lord in the midst of their sin. The passage is compelling in that it relates God¹s intense disgust and hatred of the hypocrisy and impurity. If that was how strongly God felt about sin in the temple prior to men and women having the Holy Spirit live within themselves, how much more should there be a priority of personal holiness today!
[담에 난 구멍]
에스겔 8장에는 예언자가 본 몇가지 놀라운 환상이 씌여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신랄한 것은 하나님께서 에스겔에게 성전 벽을 헐라고 하셨을 때 그 안에서 장로들의 숨겨진 죄가 발견되는 환상일 것입니다. 10절은 ‘내가 들어가보니 각양 곤충과 가증한 짐승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우상을 그 사면 벽에 그렸고’라 씌였고 이어서 그 장로들이 죄 가운데 서서 주 앞에 향로를 들었다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이것을 몹시 가증하게 여기시고 그들의 위선과 음란을 미워하십니다. 하나님께서 그들 중에 성령이 계시는데도 성전에서 죄를 짓는 남자와 여자에게 이토록 노하셨다면, 오늘날의 개인의 거룩함은 얼마나 더 중요한 것이겠습니까!
There are going to be some who read this and react with a concern that I am promoting a return to legalism or a performance-oriented relationship with God. It is quite the contrary. I believe God is calling us to embrace holiness and to hate sin out of a relationship of grace, mercy and intimacy with Him that only the cross could achieve. One of the classic definitions of Biblical grace is that grace does not give us the freedom to do what we want and get away with it. Rather, true grace gives us the freedom to be the person God wants us to be. The cross has given us access to God but it is up to us to choose to walk in the freedom of the cross and the Holy Spirit! We are not trying to earn anything from God here, but out of love wanting to be imitators of our Lord Jesus. At the very least we need a revelation today that the Holy Spirit is the ³Holy² Spirit of God!
어떤 사람들은 이 글을 읽고 내가 율법주의나 행위 위주로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를 만들어내려고 한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저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도리어 저는 하나님께서 우리가 거룩함을 입도록 부르셨다고 믿습니다. 또한 그분의 은혜와 자비, 그분과의 친밀함에서 벗어나게 하는 죄를 미워하도록 부르셨다고 믿으며, 이 모든 것은 오직 십자가에서만 얻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성경적인 은혜란, 우리가 원하는대로 아무데나 가는 것이 아닙니다. 진정한 은혜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모습의 사람이 되게 하는 자유를 줍니다. 하나님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십자가의 길이 우리에게 주어졌습니다. 그러나 십자가의 진정한 자유와 성령을 따라 그 길을 걸어가는 것은 자신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이 길에서는 하나님께 뭔가를 더 얻어내려고 노력할 것이 없습니다. 다만 사랑을 통해서 우리 주 예수를 더 닮아갈 뿐입니다. 다만 오늘날 우리에게 성령님이 하나님의 "거룩한" 영이라는 계시가 꼭 필요합니다.
I do not know how long this appointed season of cleansing and pruning will be. I do sense it will go more towards the deep part of the pool rather than the shallow end. Already, just in the eight months since the Lord began to give this word, three major leaders of international ministries I know personally, who live in three different continents, have had sexual sin exposed in their lives greatly to the surprise of those close to them. I am not saying this season is unto the immediate return or the Lord, although only the Father knows the time of Christ¹s return. Rather, I believe this is a John 15 time of pruning because God wants to bring about greater fruitfulness for the Kingdom of God and greater purity in the Bride of Christ.
이러한 정결케하고 깨끗케하는 기간이 얼마나 오래갈지는 모릅니다. 제가 느끼기에 이러한 일이 웅덩이의 얕은 곳 뿐 아니라 깊은데까지 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님께서 이 말씀을 내게 주신 뒤 8개월 동안 세명의 지도자가 성적인 범죄를 저지르고 있던 것이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모두 제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자 서로 다른 대륙에 사는 분들이었는데, 이 일로 인해 그분들과 가까웠던 사람들 모두가 크게 충격을 받았습니다. 저는 지금이 주님 다시 오시는 재림의 때라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의 다시 오실 때는 아버지만이 알고 계십니다. 다만, 제가 믿기로 이 때는 요한복음 15장의 "가지를 깨끗케 하시는" 때이며, 하나님께서는 이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에 많은 열매가 맺히고 그리스도의 신부를 깨끗하게 하시길 원하십니다.
[Davids & Sauls]
After Psalm 75 speaks of an appointed time for judgment (verse 2), it goes on to speak of the Lord promoting people (verses 6 & 7). This, as well, has to do with the greater fruitfulness the Lord wants to bring about through this pruning. Normally, when a Christian leader has hidden sin in their life, the accompanying guilt, shame and insecurity render them very controlling - controlling to the point of keeping the younger Davids that God is raising up from entering into their potential. Right now, there are many Davids serving under Sauls. These Davids are being kept back and, often times, attacked as David was because of King Saul¹s deep insecurity. It can be hard to read these present day Sauls because, like the Saul of old, they have an anointing in their life and know how to do the outward stuff. When the Holy Spirit opens a hole in the wall of their soul, though, there can be detestable things of every sort made visible. Often, everyone knows, or suspects, the problems with a Saul, but it is not until the Holy Spirit reveals it that action can be taken.
[다윗과 사울]
시편 75편에서 시편 기자는 먼저 심판을 위해 정한 기약에 대해 말한 다음(2절), 주님께서 사람을 높이시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6, 7절). 이는 또한 가지가 깨끗케 되었으면 이제는 주님께서 맺기 원하시는 많은 열매가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크리스찬 지도자가 죄를 숨기고 살면 그에 수반되는 죄책감, 부끄러움 ,불안감 때문에 이들은 다른 사람을 조정하려고 합니다.- 다윗의 잠재력을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려고 하는데도 어린 다윗을 자기 아래에 붙들어놓으려고 조정합니다. 지금 이때에도 많은 다윗이 사울 아래에서 섬기고 있습니다. 다윗과 같은 이들은 억제당하고 때로는 공격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사울에게 있어서 다윗은 위협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의 사울이 누구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옛 사울과 같이 오늘날의 사울도 기름부으심을 받았고, 외적인 행실은 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령님께서 그들 영혼의 담에 구멍을 내실 때 모든 종류의 가증스러운 것들은 보여지게 될 것입니다. 종종 누구나 사울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추측합니다. 그러나 성령님께서 나타내주지 않으시면 이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The sins God especially wants to deal with are the big three. Just as Africa has the ³big five² game animals people on safari watch out for - the lion, elephant, rhinoceros, leopard and buffalo - there also are the ³big three G² sins ministry leaders must especially watch out for. They are girls (sexual sin), gold and glory.
하나님께서 특히 다루고자 하시는 죄는 큰 나무와 같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사파리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경계해야 하는 "다섯가지 큰" 짐승이 사자, 코끼리, 코뿔소, 표범 그리고 들소인 것처럼, 사역의 지도자들도 특별히 경계해야 하는 ‘세가지 큰 G’가 있습니다. 여자(girl 성적 범죄), 황금gold 그리고 영광glory이 그것입니다.
Stealing God¹s glory by constantly drawing attention to self and building one¹s own empire, or ministry, may be even a more serious sin to God than sexual or financial sin. God wants to share His glory with us but He will not allow us to steal it! Taking glory to oneself rather than giving it to God can be a much more subtle sin than the other two. As others before have pointed out, spiritual pride is only revealed (by the Holy Spirit). It is not usually detected (except by others around you). One of the boldest prayers in the Bible is David¹s in Psalm 139. He writes, ³Search my heart, O God, and see if there be any hurtful ways with me.² God is faithful. Just as He is quick to forgive when we are honest with Him (1 John 1:9), He is also quick to give us insight regarding sin in our hearts if we choose to truly be vulnerable with Him. The problem, however, is that when one is practicing sin, shame causes one to ³cover up,² much like Adam and Eve in the Garden.
하나님의 영광을 훔치는 것은, 사람들의 이목을 끊임없이 자신에게로 끌어당겨서 자기가 지배하거나 자기의 사역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 성적인 죄 혹은 돈에 관련된 죄보다도 더 심각한 죄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영광안에 우리가 함께 있기를 원하시지만 우리가 그의 영광을 훔치는 것은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않고 사람이 영광을 취하는 것은 다른 두가지보다 포착하기가 더 어려운 죄입니다. 이전에도 지적되었듯이, 영적인 교만은 오직 성령에 의해서만 드러납니다. 보통 이것은 주변 사람들에게 밖에는 잘 발견되지 않습니다. 성경에 기록된 가장 담대한 기도중 하나는 다윗이 쓴 시편 139편입니다. 그는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나를 시험하사 내 뜻을 아옵소서’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할때 속히 용서하십니다(요일 1:9). 또한 하나님은 그분 앞에 우리가 진실로 연약한 상태로 있을때 우리에게 죄에 대하여 속히 깨닫게 하십니다. 그러나 문제는 어떤 사람이 습관적으로 죄를 짓고 있다면, 수치로 인해 "가려져서" 에덴동산의 아담과 하와처럼 숨게 된다는 것입니다.
In closing allow me to reiterate the fact that God is not bringing judgment or chastisement out of wrath but out of love. To quote the writer of Hebrews
again: ³God deals with you as with sons; for what son is there whom his father does not discipline? But if you are without discipline, of which all have become partakers, then you are illegitimate children and not sons.
Furthermore, we had earthly fathers to discipline us, and we respected them; shall we not much rather be subject to the Father of spirits, and live? For they disciplined us for a short time as seemed best to them, but He disciplines us for our good, so that we may share His holiness², Heb.
12:7-10. In a nutshell, God calls us, provokes us and chastises us to holiness out of His great love for us. On the flip side, to pass off the warning signs could be costly. It could cost one¹s marriage, family, ministry and even one¹s health - emotionally, spiritually and physically. As
1 Peter 1:16 reads: ³you shall be holy, for I am holy²! Holiness must be more than a mere confession of heaven to come!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는 이유는 진노가 아닌 사랑 때문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하나님이 아들과 같이 너희를 대우하시나니 어찌 아비가 징계하지 않는 아들이 있으리요 징계는 다 받는 것이거늘 너희에게 없으면 사생자요 참 아들이 아니니라 또 우리 육체의 아버지가 우리를 징계하여도 공경하였거든 하물며 모든 영의 아버지께 더욱 복종하여 살려 하지 않겠느냐 저희는 잠시 자기의 뜻대로 우리를 징계하였거니와 오직 하나님은 우리의 유익을 위하여 그의 거룩하심에 참예케 하시느니라’(히 12:7-10)고 하였습니다. 요약하면, 하나님은 우리를 부르시고, 우리를 일으키시고, 거룩함에 이르도록 우리를 징계하십니다. 반대로,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하면 그 대가가 있습니다. 결혼, 가정, 사역, 심지어 자신의 건강-감정적, 영적, 신체적인 건강까지도 대가로 치를 수 있습니다. 베드로전서 1장 16절에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찌어다’라 하셨습니다! 거룩함은 단순한 자백을 넘어서서 하늘이 임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Below I have listed a few simple steps that may be appropriate for those leaders who are in bondage and truly desire to get free. Sometimes when we, as leaders, are going through things we need the simple reminders of what we already know so well.
아래에 몇가지 간단한 단계를 적어놓았습니다. 지도자가 묶임에서 놓여 진정으로 자유케되기를 원한다면 이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우리가 지도자로서 어떤 일을 할때,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기억할 수 있도록 이러한 것이 필요합니다.
1. Find someone, a peer, with whom you can be vulnerable and truthful.
When Jesus instructed the disciples to wash one another¹s feet He was speaking to a group of peers in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masses.
Sometimes you need a peer to understand the unique battles you are facing.
This may end up being someone who is outside of your church. It does need to be someone, however, to whom you can be accountable. They need to be someone who will blow the whistle on you if you do not truly proceed with steps of restoration. In Psalm 32:2 David said, ³When I kept silent about my sin, my body wasted away.² It may or may not be your body that wastes away but it will be your identity, balance and emotional health that fall apart because of the ravages of guilt and shame.
1. 자신의 약한 모습까지도 다 보일 수 있는 진실한 사람을 구하십시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서로 발을 씻기라고 가르치쳤을때, 예수님은 군중이 아니라 그와 관계를 맺고 있는 그의 동료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때때로 여러분께는 여러분이 직면한 영적전쟁을 이해해줄 동료가 필요합니다. 그 사람은 교회 밖의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사람은 당신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당신이 회복의 과정을 제대로 하지 않을 때 당신을 일깨워줄 사람이 필요합니다. 시편 32편 3절에서 다윗은 ‘내가 토설치 아니할 때에 종일 신음하므로 내 뼈가 쇠하였도다’라고 하였습니다. 몸은 상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죄책감과 수치로 인해 사람의 정체성, 균형감 그리고 감정적인 건강은 파괴됩니다.
2. If your sin is ³hands on² sin, such as sexual sin or financial
impropriety, it needs to be brought out to the leadership team of your ministry. Most always you will need to step down from ministry for a time of restoration. Do not allow pride or fear of losing your calling get in the way. God¹s primary will for you is to become Christ-like rather than to simply use you in ministry. He loves you for who you are, not merely for what you do!
2. 만약 당신의 죄가 ‘실제적인’ 죄인 경우, 예를 들어 성적인 범죄나 재정의 오용일 때, 사역의 지도자 그룹에게 이를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경우 당신이 이 과정을 거치는 동안 사역을 내려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교만하지도 말고 당신의 부르심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워하지도 마십시오. 하나님의 최우선의 목표는 당신이 그리스도를 닮도록 하는 것이지 단순히 당신을 사역에 쓰려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무엇을 해서가 아니라 내가 누구인가 하는 것 때문에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3. If you are a married leader who has committed adultery, you need to confess this to your spouse. The damage is already being done. Even though they may be ignorant of the actual sin, they are already being hurt. It is only through the process of confession, repentance and forgiveness that true restoration to a loving relationship of trust can be restored. It would be wise to first get good counsel as to how to confess this to family members and the church. Don¹t be surprised if the forgiveness is preceded by anger over the betrayal. Do, however, realize that the long-term goal of wholeness is worth the cost of bringing the darkness into the light.
3. 결혼한 지도자로서 간음을 저질렀다면, 이것을 배우자에게 자백할 필요가 있습니다.손해는 이미 났습니다. 그 죄를 모르고 있었다고 해도 그들은 이미 상처를 입었습니다. 자백과 회개, 용서가 아니고는 사랑의 관계는 바르게 복구되지 않고, 신뢰는 회복될 수 없습니다. 가족과 교회에 어떻게 자백할지에 대해서는 우선 좋은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배우자가 당신의 배신에 대해 분노가 아니라 용서를 하더라도 놀라지 마십시오. 그러나 온전함에 이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어두움을 빛으로 가져갈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아십시오.
4. Even if you are in a good state, work hard at building real
relationships of heart to heart communication with your spouse and a few people in your leadership team or church. One of the easiest ways for the enemy to set us up is through isolation. Build relationships so we can easily take care of the ³little foxes in the garden² before they turn into raging lions let loose in our souls. Building equity in relationships is like building equity in a home mortgage. It takes time and work. Once you have a lot of equity built up in a relationship, it¹s just as with your house. In a time of difficulty it is money in the bank and you can borrow on it if need be!
4. 만약 당신이 좋은 위치에 있다면 당신의 배우자나 지도자그룹 또는 교회에서 몇 사람들과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진정한 관계를 세우도록 노력하십시오. 원수가 우리를 공격하는 가장 쉬운 방법중 하나는 외로움입니다. 관계를 개발하십시오. 그러면 "정원의 작은 여우"가 변해서 "우리를 삼키기 위해 울부짖는 사자"가 되기 전에 이것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주택적금에 매달 돈을 저축하듯이 관계에 있어서도 미리 저축하십시오. 이러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관계에 있어서 많이 저축해두는 것은 집 문제에서와 마찬가지입니다. 어려운 때가 되면 필요에 따라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5. Lastly, and most import!!antly, learn, or perhaps relearn, the art of waiting on God. Many leaders are to be commended for their time spent in intercessory prayer. However, spending time simply gazing upon God, communing with Him and waiting upon His good pleasure is vital to fully walking in the Spirit of the Lord. Without this type of ³watching² prayer, as Habakkuk practiced, it is easy to fail to see and hear the warning signs the Holy Spirit would give to us from the quietness of God¹s heart. It is in this place where we can receive from the Father those minor, easy to fix corrections rather than needlessly heading towards the big judgments that bring everything to a painful halt.
Marc A. Dupont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November 2, 2004
5. 마지막으로,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을 기다리는 법을 배우십시오. 이것을 다시 익히십시오. 많은 지도자가 자신의 시간을 중보기도에 사용하도록 위임받습니다. 그렇지만 단순히 하나님을 잠잠히 바라보고 하나님과 친밀하게 이야기하고 그분의 기쁘신 뜻을 기다리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통해 주의 영 안에서 충분히 걷도록 생기를 얻게 됩니다. 이렇게 ‘잠잠히 바라는’ 기도가 없이는, 하박국이 그랬던 것처럼, 하나님 마음의 은밀한 것까지 아시는 성령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경고사인을 보거나 듣는데 실패하기 쉽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작고 교정하기 쉬운곳에서 아버지께로부터 받는 것입니다. 불필요하게 큰 심판을 향해 가다가 사역이 아프게 중단될 필요는 없습니다.
마크 A. 뒤퐁
맨틀 오브 프레이즈 미니스트리 (Mantle of Praise Ministries, Inc.)
2004년 11월 2일.
출처 : 큰믿음교회
글쓴이 : 파란 원글보기
메모 :
'거룩 (성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자가에 못박히는 것과 거룩함 (0) | 2011.06.17 |
---|---|
[스크랩] 패트리샤 킹이 전하는 그리스도의 의로움 (0) | 2011.01.27 |
[스크랩] 성화되기 위한 두가지 조건 -퓨셔피켓- (0) | 2010.08.01 |
[스크랩] 마음을 새롭게 하지 않으면 진짜가 되는 그 은혜가 내게 부어지지 않습니다. (0) | 2010.07.01 |
[스크랩] 날마다 반복해서 짓는 죄, 내 노력으로 해결할 수 없다. - 앤드류 머레이 (0) | 2010.06.16 |